본문 바로가기
유용정보

2025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계산 주휴수당 포함시

by 그해더해 2025. 2. 21.
반응형

2025년 최저임금이 확정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실수령액이 어떻게 변할지 궁금해하고 있어요. 최저임금은 매년 인상되지만, 세금과 4대 보험료가 공제된 후 실제로 받는 금액은 예상보다 적을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저임금 기준 시급과 월급을 확인하고, 4대 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을 계산해볼 거예요. 또한, 주휴수당을 포함한 총 월급, 최저임금 근로자의 세금 부담, 실수령액을 높이는 방법까지 꼼꼼히 살펴볼게요!

2025 최저임금 기준 시급·월급

2025 최저임금 기준 시급·월급

2025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500원으로 결정됐어요. 이는 2024년 대비 5% 인상된 금액이에요.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월급도 오르게 되는데, 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월급을 계산해 보면 다음과 같아요.

2025 최저임금

💰 2025 최저임금 월급 계산

항목 계산 방법 금액 (원)
시급 최저임금 기준 10,500
일급 (8시간 기준) 10,500 × 8 84,000
주급 (5일 근무 기준) 84,000 × 5 420,000
월급 (209시간 기준) 10,500 × 209 2,194,500

 

2025년 최저임금 기준으로 계산한 월급은 2,194,500원이에요. 하지만 실수령액은 여기에서 세금과 4대 보험료를 공제한 후의 금액이 되므로 더 적어질 수 있어요.

 

다음으로는 4대 보험료 공제 후 실수령액을 계산해볼게요.

.

4대 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 계산

4대 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 계산

최저임금으로 월급을 받더라도 세금과 4대 보험료를 공제하면 실제로 받는 금액은 줄어들어요. 일반적으로 최저임금 근로자는 소득세 부담이 크지 않지만, 4대 보험료는 반드시 납부해야 해요.

 

그렇다면 2025년 최저임금(월 2,194,500원) 기준으로 공제되는 금액을 계산해볼게요.

실수령액

📉 4대 보험 공제 내역

공제 항목 공제율 공제액 (원)
국민연금 4.5% 98,752
건강보험 3.545% 77,825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81% 9,969
고용보험 0.9% 19,751
소득세 + 지방소득세 약 1% 21,000
총 공제액 - 227,297
실수령액 월급 - 총 공제액 1,967,203

 

2025년 최저임금 근로자의 경우, 4대 보험료와 세금을 공제하면 실수령액은 약 1,967,203원으로 예상돼요. 물론 부양가족이 있거나 비과세 혜택을 받을 경우 실수령액은 조금 더 증가할 수 있어요.

 

다음으로 주휴수당을 포함한 총 월급을 계산해볼게요.

주휴수당 포함 시 총 월급은?

주휴수당 포함 시 총 월급은?

주휴수당이란 근로자가 일주일 동안 정해진 근무일수를 채우면, 추가로 하루치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예요. 이는 최저임금 근로자에게 중요한 요소이며, 주휴수당까지 포함하면 실질적인 월급이 더 늘어나요.

 

주 40시간(월 209시간) 근무하는 경우,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월급이 어떻게 변하는지 계산해볼게요.

📌 2025 최저임금 + 주휴수당 포함 월급

항목 계산 방법 금액 (원)
최저임금 월급 10,500 × 209 2,194,500
주휴수당 10,500 × 8 × 4.34 364,680
총 월급 (세전) 기본 월급 + 주휴수당 2,559,180

 

주휴수당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최저임금 근로자의 세전 월급은 약 2,559,180원이에요. 하지만 세금과 4대 보험료가 공제되면 실제 수령액은 줄어들게 돼요.

 

주휴수당이 포함된 상태에서 실수령액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아요.

📝 주휴수당 포함 실수령액

항목 금액 (원)
총 월급 (세전) 2,559,180
4대 보험료 약 266,000
소득세 + 지방세 약 31,000
실수령액 2,262,180

 

즉, 주휴수당이 포함된 경우 세후 실수령액은 약 2,262,180원으로 예상돼요. 일반적으로 부양가족이 없고 기본 공제만 적용된 경우 이 정도 수준이 될 거예요.

 

다음으로 최저임금 근로자의 세금 부담을 알아볼게요.

최저임금 근로자의 세금 부담

최저임금 근로자의 세금 부담

최저임금 근로자도 세금을 내야 하지만, 소득이 많지 않아 세금 부담이 크지는 않아요. 하지만 4대 보험료는 반드시 납부해야 하고,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도 일부 부과될 수 있어요.

 

2025년 최저임금 기준으로 세금 부담이 어떻게 되는지 살펴볼게요.

🧾 최저임금 근로자의 세금 항목

세금 항목 부과 기준 공제 금액 (원)
소득세 과세표준 1,400만 원 이하 약 29,000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 약 2,900
국민연금 월급의 4.5% 약 115,000
건강보험 월급의 3.545% 약 90,000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의 12.81% 약 11,500
고용보험 월급의 0.9% 약 23,000
총 공제액 - 약 271,400

 

위 표를 보면 최저임금 근로자는 소득세와 지방소득세가 상대적으로 적지만, 4대 보험료는 필수적으로 납부해야 해요. 이로 인해 월급에서 27만 원가량이 공제돼요.

 

다음으로 실수령액을 높이는 방법 3가지를 알아볼게요.

실수령액 높이는 방법 3가지

실수령액 높이는 방법 3가지

최저임금을 받는 근로자라도 몇 가지 전략을 활용하면 실수령액을 높일 수 있어요. 세금을 줄이거나 추가 소득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이 중요해요.

 

다음은 최저임금 근로자가 실수령액을 늘릴 수 있는 3가지 방법이에요.

💡 실수령액 늘리는 3가지 방법

방법 설명
비과세 항목 활용 식대, 교통비, 출산·육아 지원금 등 비과세 항목을 적극 활용
주휴수당 포함 근무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여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도록 근무 시간 조정
연말정산 공제 활용 연말정산 시 신용카드 공제, 의료비·교육비 공제를 최대한 활용

 

첫 번째 방법은 비과세 항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에요. 예를 들어, 월 10만 원까지의 식대는 비과세 혜택이 있어 기본급이 아닌 식대로 지급받으면 실수령액이 늘어날 수 있어요.

 

두 번째 방법은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도록 근무 일정을 조정하는 것이에요.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으므로, 근무 시간을 조정해 최대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아요.

연말정산 공제

세 번째 방법은 연말정산을 활용하는 것이에요. 최저임금 근로자도 연말정산을 통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신용카드 사용 금액, 의료비, 교육비 등을 공제받으면 추가적인 환급이 가능해요.

 

다음으로 알바와 정규직의 실수령액 차이를 비교해볼게요.

알바·정규직 실수령액 차이 비교

알바·정규직 실수령액 차이 비교

같은 최저임금을 받더라도 아르바이트와 정규직의 실수령액은 차이가 날 수 있어요. 정규직은 4대 보험이 의무 가입이지만, 아르바이트는 근무 시간과 근로 형태에 따라 일부 보험료를 내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에요.

 

그렇다면 2025년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알바와 정규직의 실수령액 차이를 비교해볼게요.

📊 알바 vs 정규직 실수령액 비교

구분 월급 (세전) 4대 보험 공제 실수령액 (원)
정규직 (주 40시간) 2,559,180 약 271,400 2,262,180
알바 (주 15시간 미만) 1,279,590 0 (4대 보험 미가입) 1,279,590
알바 (주 15시간 이상) 2,559,180 약 200,000 2,359,180

 

위 표를 보면, 주 15시간 미만으로 근무하는 아르바이트생은 4대 보험료를 공제하지 않아 실수령액이 많아 보일 수 있어요.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국민연금이 쌓이지 않고, 건강보험 혜택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불리할 수 있어요.

 

반면, 정규직은 4대 보험료를 납부하지만, 국민연금이 쌓이고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또한, 연말정산 시 일부 세금을 돌려받을 수도 있기 때문에 단순한 월급 비교만으로는 어떤 근로 형태가 더 유리한지 판단하기 어려워요.

 

다음으로 2025년 최저임금과 관련된 궁금증을 FAQ로 정리해볼게요.

2025 최저임금 실수령액 관련 (FAQ)

2025 최저임금 실수령액 관련 (FAQ)

Q1. 2025년 최저임금은 얼마인가요?

 

A1. 2025년 최저임금은 시급 10,500원으로 결정됐어요. 월급으로 환산하면 약 2,194,500원(주 40시간 기준, 주휴수당 제외)이에요.

 

Q2. 최저임금 월급에서 실수령액은 얼마인가요?

 

A2. 4대 보험료와 소득세를 공제하면 실수령액은 약 1,967,203원정도예요. 주휴수당까지 포함하면 실수령액이 2,262,180원 정도로 늘어나요.

 

Q3. 주휴수당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3.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어요. 주 5일 근무 시 하루 3시간 이상, 주 6일 근무 시 하루 2.5시간 이상 일하면 주휴수당이 적용돼요.

 

Q4. 최저임금 근로자도 소득세를 내야 하나요?

 

A4. 네, 최저임금 근로자도 일정 소득 이상이면 소득세를 납부해야 해요. 하지만 세율이 낮아 소득세 부담은 크지 않아요. 연말정산을 하면 일부 세금을 돌려받을 수도 있어요.

 

Q5. 알바와 정규직의 실수령액 차이가 큰가요?

 

A5. 네, 정규직은 4대 보험을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지만, 아르바이트는 주 15시간 미만이면 4대 보험료를 공제하지 않아 실수령액이 더 많아 보일 수 있어요.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정규직이 더 유리할 수 있어요.

 

Q6. 실수령액을 늘리는 가장 좋은 방법은?

 

A6.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도록 근무 시간을 조정하고, 비과세 항목(식대, 교통비 등)을 활용하는 것이 좋아요. 연말정산을 통해 추가 공제를 받으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도 있어요.

 

Q7. 4대 보험료를 줄이는 방법이 있나요?

 

A7. 4대 보험료는 법적으로 정해진 비율이 있어서 줄이기는 어렵지만, 비과세 수당을 활용해 과세 대상 소득을 줄이면 총 공제액이 감소할 수 있어요. 또한,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라면 건강보험료를 감면받을 수도 있어요.

 

Q8. 연말정산을 하면 최저임금 근로자도 환급받을 수 있나요?

 

A8. 네, 최저임금 근로자도 신용카드 사용 공제, 의료비·교육비 공제 등을 통해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어요. 연말정산을 꼼꼼하게 챙기면 예상보다 더 많은 환급을 받을 수도 있어요.

반응형

댓글